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3건)

읍취정 挹翠亭1
북구 우치로 236 (오치동)   창건연대는 확실치 않다. 하서 김인후가 정자 이름을 지었다는 점에서 1570년대 무렵으로 여겨진다. 임진왜란 때 김천일 장군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진주성 싸움에서 왜적과 대적하다 순절한 승사랑 읍취 이방필(李邦弼, ?~1592)의 후손이 세웠다. 그 후손이 이양원(1526~1592)으로 호는
월파장서루 月坡藏書樓
광산구 서봉동월파장서루는 화정(花汀) 박원국(朴源國)이 지었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노사 기정진이 쓴 기문이 전하고 있어 조선말 서양세력의 침략기에 지어진 정자로 보인다. 《광주읍지》(1879, 1924)에서는 주의 서쪽 36리에 있다. 승정원 일기 고종 14년 정축(1877)  8월 21일에 보면 조선시대에도 불우이웃
우산정사 牛山精舍
북구 효령동 산102   효령동 종방마을 입구 도로변을 따라 향리 송은松隱 기정륜奇梃崙(1663~1740)이 학문을 가르치던 우산정사가 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이 정사는 뒷편에 존성재라는 별도의 재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정자로 여겨진다. 이곳은 강학이나 종친 모임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외성당 畏省堂
광산구 안청동 495번지 외성당은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1637~1678)가 거처한 서실이다. 《광주읍지》(1879, 1924)에 따르면 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박광후의 스승 우암 송시열이 쓴 ‘외성당’이라는 글씨가 현액되었으나 지금은 없다. 1930년대에 철거된 후 텃 자리에는 새 건물이 들어서 있다. 이곳은 후에 아들 소은素隱
와송정 臥松亭
북구 금곡동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동쪽 30리 금곡마을에 있다. 원래 광주군(光州郡) 석저면(石底面)에 속한 지역이다. 석곡면 금곡리는 북구 금곡동과 장운동이다. 계류가 흐르는 곳에 탐진최씨 석초(石樵) 최달석(崔達錫)이 와송정을 세웠으나 지금은 없다있는 소나무 아래에 지었다 하여 그 이름을 와송이라 했다
오산정1 梧山亭
북구 서하로 243 (오치동)   한말에 좌승지를 지낸 오산 이용헌이 오치의 산수를 사랑하여 오치동의 산 정상에 작은 정자를 지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인 송천 이계익이 1911년 부친의 뜻을 이어 이 정자를 오치의 안산案山에 완성하고 아버지의 호를 따 오산정이라 이름했다. 《
영취당 映翠堂
주의 서쪽 40리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40리에 있는 건물로 참봉을 지낸 서암 유상근이 건립했다. 후암後菴 송증헌宋曾憲(1878~1947)이 기문을 썼고 주인 유상근의 원운과 유병우柳秉禹의 차운, 면암 최익현의 아들인 월성 최영조崔永祚(1859~1927)의 시가 남아 있다.송증헌의 기문에는 그의 선조는 호가정
영사정 永思亭
남구 지산재길 51(양과동)   고운 최치원을 배향한 지산재芝山齋 근처에 영사정이 있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서남쪽 20리라 했다. 장령 영사정 최형한(1460?∼1504)이 정자를 지은 것은 학문이나 유희가 아니라 어버이의 무덤을 바라보며 그의 못다한 추모의 정을 달래기 위해서였다. 집으로부터 1리
영추재 永追齋
주의 서쪽 40리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40리에 있다. 광산구 동곡동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화순군 동곡면 하산리 매상마을에 살던 김중배金重培가 이를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1893년 알성시 병과(丙科)에 등과한 오학선吳鶴善(1853~?)이 쓴 기문과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의 상량문이
영사재2 永思齋- 이호헌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20리에 있고 초은 이호헌(1858~1919)이 건립했다. 주인 이호헌의 시가 남아 있다.   어렴풋한 마음으로 재실 안에 들어서니멀지 않은 우리 선롱先壟 아득하게 보였도다.아름다운 많은 송림 담장가에 가득하니서리 이슬 밟으면서 춘추제향 모셨도다.아침 연기 개인 곳에 맑은 강물 반짝
연파정 蓮坡亭
북구 하백로29번길 24 (매곡동)   광주민속자료 제3호로 지정되어 있는 김용학가옥金容鶴家屋을 구성하는 건물 중 하나이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에 있다. 농와 김영덕이 평소 언덕 위에서 휴양의 시간을 보냈다. 1918년 하은(荷隱) 김희수(金喜洙)(1861∼1934)가 아버지 김영덕(金永德)을 기리기 위해
연당 蓮堂
주의 북쪽 10리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에 있다. 기록에는 김용구金龍久가 지었으며 근래에 폐철되었다고 해 일제강점기 초기에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정자 이름으로 볼 때는 주변에 연꽃이 만발한 연못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과정 良苽亭 양과동정
남구 이장동 266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양과정이 주의 서남쪽 20리에 있다. 일명 간원대諫院臺이다. 이 지역 출신 인물들이 간관諫官으로 많이 진출하여 국사를 논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고경명의 별장이라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600년대 중반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편액 '良苽洞亭'이라는
쌍계정 雙溪亭 쌍계당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쌍계정은 주의 북쪽 40리에 있다. 부제학 효우당 이종검(? ~ ?)이 지었다. 본래는 용인에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 헐어지자 후손이 광주로 옮겨 1821년에 다시 건립하고 이름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종검의 호는 쌍계이다. 1429년 종제인 이보흠과 함께 문과 급
신향각 新香閣 문향각聞香閣
 광주 동구 금남로1가   광주관아의 핵심건물들은 기본적으로 옛 도청 쪽(광산동)인 아시아문화전당 자리가 아니라 그 맞은편인 금남로 1가와 대의동 일대에 집중돼 있었다. 관아를 동헌(東軒)이라 부르는 것은 자북에 따른 동쪽이 아니라 동문 쪽에 배치했기 때문이다.따라서 관아가 금남로 1가 일대에
쇄소당 灑掃堂
북구 운암동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서북쪽 40리에 있고 쇄소당 이운홍(李運鴻, ? ~1598)이 지어 지냈다. 이운홍의 호는 쇄소당이다. 기대승의 문하에서 공부했고 임진왜란 때 함재 기효증, 간재 이덕홍 등과 함께 의곡과 의병을 모았다. 정유재란 때 부친인 참의 이의중을 등에 업고 피난하다 왜적에
송하재 松荷齋
북구 북쪽 10리송하재는 조선환여승람(1938)에는 효지면 송하리의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였던 심순성沈舜省의 후손인 북구 일신마을 심영택沈英澤(1810~?)과 심환택沈煥澤 형제가 건립한 담락처였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 광주향교 광주읍지(1925)에는 서쪽 10리에 있다고 한다.참판 심계택沈啓澤의 기문을
소빈헌 笑嚬軒
동구 금남로1가   지금의 민주의 종각 옆 건물 상무관 주변에 소빈헌과 함께 관누정 중 월소루가 있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객사의 동쪽에 있는 하모당 서쪽 10보의 지점에 소빈헌이 있다. 바로 옆 건물인 셈이다. 광주목사로 부임한 한성우(1633~1710)가 광주 동헌 하모당 서쪽에 지었다. 목사 한성우는 170
선암역仙岩驛 누각
광산구 선암동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 제35권 광산현光山縣 편에 광주 주변의 역으로 선암역은 현의 서쪽 40리에 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도 주의 서쪽 40리에 있는 데 또한 관원 전용 주막인 원院이 있다고 했다. 이곳은 유배자들도 쉬어 자는 곳이었다. 1750년대 초반에 제작된 해동지
불환정 不換亭
광산구 내등길 265 (내등마을)   황룡강의 송산교에서 임곡 방향으로 향하다 보면 우측에 내등마을이 나온다. 마을 안쪽 길을 따라 한참을 올라가면 어등산 북쪽 기슭에 불환정이 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30리 거리에 있다. 불환정의 주인은 임덕원(1713~1787)이다. 조선중기의 유명한 처사로 부귀와영화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